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길이 8-20cm, 너비 2-4cm이며 좁고 긴 점첨두이거나 꼬리처럼 길며 좁은 예저이고 표면은 청록색, 뒷면은 청백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뒷면에 우상맥은 12쌍이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열매
열매는 구형으로 지름 1cm이고 녹흑색(綠黑色)으로 이듬해 9월에 성숙하며 밑부분에 화피열편이 남아있다.
꽃
꽃은 양성화로 원추화서에 달리고 연한 황록색이며 5월에 개화한다. 화서는 화경이 길며 새가지 밑부분에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6mm정도이고 화피는 3개씩 2줄, 수술은 3개씩 3줄로 배열되며 암술은 1개이다.
줄기
높이가 10m에 달하며 소지는 회갈색이고 동아와 더불어 털이 없으며 골속이 연한 갈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및 우리 나라 거제도, 제주도 등 남쪽 섬에 자생한다.
형태
상록 활엽 교목.
크기
높이 10m정도로 자란다.
+상세설명
개요
섬의 낮은 산기슭에서 높이는 10m 정도로 자라는 상록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20cm, 폭 2~5cm,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앞면은 윤기가 나며 뒷면은 흰빛을 띤다. 꽃은 5월에 피며, 햇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연한 노란색이다. 화피편은 긴 타원형으로 3장씩 2줄로 배열한다. 수술은 3개씩 3줄로 총 9개가 붙는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8월에 검은 녹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타이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후박나무에 비해 잎이 좁고 길며 끝이 꼬리처럼 뾰족해지므로 다르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국내분포
남부지방, 제주도
해외분포
타이완, 중국, 일본
서식지/생육지
섬의 낮은 산기슭
형태
높이 10m에 달한다. 수피는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20cm, 폭 2~5cm,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앞면은 윤기가 나며 뒷면은 흰빛을 띤다. 꽃은 햇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다. 화피편은 긴 타원형, 3장씩 2줄로 배열한다. 수술은 길이 4mm 정도로 3개씩 3줄로 총 9개가 붙는다. 열매는 장과, 둥글며 검은 녹색으로 익는다.
생태
상록 큰키나무이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8월에 익는다.
해설
후박나무(M. thunbergii Siebold & Zucc.)에 비해 잎이 좁고 길며 끝이 꼬리처럼 뾰족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