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대생하며 길이가 2~7cm,
폭은 7~25mm로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톱니가 없고 엽병은 길이가 1~2mm 정도 된다.
열매
열매는 난상 원형이고 핵과로 길이가 7~8mm 정도되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꽃
꽃은 암수한그루로 5-6월에 피며
정생하는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에 흰꽃이 뭉쳐 피고 향기가 오래도록 난다. 화서의 길이는 2~3cm이며 잔털이 있고 화관은 통형이며 길이
7-10mm로서 백색이고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 첨두이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4개의 거치와 잔털이 있다. 열편은 삼각형에 끝이 뾰족하고
통부보다 짧다. 수술은 2개로 짧으며 꽃통에 달리고, 암술대는 길이가 3~4mm로 한 개이다.
줄기
가지가 가늘고 잔털이 있으나 이년지에서는 없어지며 회백색이고 많이 갈라진다.
뿌리
잔근성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류큐), 대만, 중국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700m사이, 제주,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 충북(단양), 강원, 경기(광릉), 황해, 평북에 야생한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수고 2~4m, 수관폭 3m 정도
+상세설명
개요
낮은 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들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2~3m이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 모양 또는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새가지 끝에서 길이 2~4cm의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작은 꽃이 많이 달리며, 흰색의 양성화이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4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끝이 4갈래로 갈라져서 밖으로 젖혀진다. 수술은 2개, 꽃부리의 통 부분에 붙어 있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등근 모양, 10~11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2년생 가지를 포함하여 잎 아랫면의 맥 위에 털이 난 것을 털쥐똥나무로 구분한다. 또한 잎몸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둔한 점에서 다소 뾰족한, 남부 도서산 산동쥐똥나무와 울릉도산 섬쥐똥나무와 구별된다. 생울타리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약용한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일본
서식지/생육지
산지의 숲 가장자리
형태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2~3m이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 모양 또는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작은 꽃이 많이 달리며, 흰색이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4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끝이 4갈래로 갈라져서 밖으로 젖혀진다. 수술은 2개, 꽃부리의 통 부분에 붙어 있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등근 모양, 검은색으로 익는다.
생태
꽃은 5~6월에 핀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곳에 자라며 습기가 충분한 토양을 요구한다.
해설
단엽인 잎이 마주나기로 줄기에 달리며, 꽃은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꽃잎이 융합되어 있는 통꽃이고 5개의 열편이 있으며 이 열편들이 통보다 작은 특징을 비롯해 열매가 핵과인 낙엽성 활엽 작은키나무의 특징으로 본 분류군을 인식할 수 있다.
2년생 가지를 포함하여 잎 아랫면의 맥 위에 털이 난 것을 털쥐똥나무로 구분한다.
잎이 빽빽하게 나며,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아도 잘 자라서 울타리용으로 흔히 재배한다.
시골동네에 고양이가 많을땐 쥐가 안보이더니 또 고양이가 적어지니깐 쥐가 보이기 시작하네요.
그래도 예전엔 쥐똥많이 본것 같은데 요즘은 보기 힘들어서 좋은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