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는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 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도 길이 2-2.5c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액질(液質)이다. 과실이삭은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2.5cm로 6월에 검붉에 익는다. 산뽕나무에 비해 화주가 짧다.
꽃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화서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다. 암꽃 이삭은 길이
5-10mm이고 넓은 타원형이며 암꽃은 4개이고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길이2mm이며 자방은 털이 없다.
줄기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뿌리
근피(根皮)를 상백피(桑白皮)라 한다.
원산지
중국
분포
수직적으로 표고 100~1,100m, 수평적으로 거의 전국에 식재한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크기
높이가 3m 정도에 이른다.
+상세설명
개요
민가 주변이나 밭에 식재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 또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3~10m에 이른다. 줄기껍질은 회갈색이며, 어린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으로 길이 10cm이며 3~5갈래로 갈라진다. 잎끝은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잎줄 위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2.0~2.5cm이고 잔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꼬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긴 타원형이다. 암꽃이삭은 길이 5~10mm이고 넓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씨방에 털이 없다. 열매이삭은 6~7월에 검붉게 익으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0~2.5cm이다.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나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한다. 유럽 및 북아메리카의 온대지역에서는 정원수로 재배하며, 야생으로 퍼져 나가 귀화종으로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 산뽕나무와 비슷하나 잎끝이 뾰족한 점과 열매가 익어감에 따라 암술머리가 떨어져서 거의 없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잎은 양잠용, 나무껍질은 약용 또는 제지용으로 이용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한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동아시아가 원산이나 북반구의 온대 지역 전역에서 자란다.
서식지/생육지
재배한다.
형태
줄기는 높이 3~10m에 이른다. 줄기껍질은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으로 길이 10cm이며 3~5갈래로 갈라진다. 잎 끝은 둔두 또는 첨두이며, 밑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잎줄 위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2.0~2.5cm이고 잔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6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새 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꼬리 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긴 타원형이다. 암꽃이삭은 길이 5~10mm이고 넓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씨방에 털이 없다. 열매이삭은 6월에 검붉게 익으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0~2.5cm이다.
생태
재배하는 낙엽교목 또는 낙엽관목이다.
이용및활용
잎은 양잠용(누에먹이), 수피는 약용 또는 제지용으로 이용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한다.
해설
본 분류군은 누에고치를 치기위해 재배하며 중국이 원산지라고 생각되나 자생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지금은 유럽 및 북아메리카의 온대지역에서는 정원수로 재배하며 재배 지역에서 야생으로 퍼져 나가 귀화종으로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
산뽕나무와 비슷하나 잎의 선단이 첨두인 점과 열매가 익어감에 따라 암술머리가 떨어져서 거의 없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열매는 먹을 수 있다. 누에고치로부터 비단을 얻기 위해서 주로 재배하나, 항생제 및 항산화제 효과와 항염증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Cho and An 2008; Gungor and Sengul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