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엽병이 길며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1개로 긴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원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2.5-5cm, 폭1-2.5(3.5㎝)cm로서 삼각형의 톱니가 있고 털은 없으며, 소엽병은 길이 6~30mm이고 밑 부분에 흔히 소엽편이 있다. 근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작다.
꽃
꽃은 7~9월에 피며 혈적색이고 수상화서는 긴 대가 있으며 길이1~2.5cm, 지름 6~8mm로서 곧게 서고, 포는 넓은 타원형이며 소포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넓은 타원형이고 수술도 4개로서 꽃받침보다 짧으며 꽃밥은 흑갈색이다. 심피는 1개이다.
열 매
열매는 수과로서 사각형이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 기
높이 30-15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 리
근경은 옆으로 비스듬히 방추형으로 자라고, 다시 방추형의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생육환경
산야에서 흔히 자라고, 부식질이 있는 점질양토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분주 또는 실생으로 행한다.
개화기
7월,8월,9월
꽃의 색
붉은색,검정
재배특성
충분히 관수 관리한다. 주로 냇가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생한다. 건조에 약하며, 보통으로 자란다.
▶꽃과 열매는 꽃꽂이 소재로 이용되며, 정원이나 공원 도로변 조경에 이용해도 좋다.
▶오이풀, 산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가는오이풀, 애기오이풀의 根(근) 및 根莖(근경)을 地楡(지유)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발아 전 또는 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른 다음에 뿌리는 캐서 가는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tannin, triterpenoid系(계)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분리된 saponin에는 지유 glycosideⅠ 그 가수분
해 생성물은 ponolid acid, arabinose와 glucose, 지유 glycosideⅡ 그 가수분해 생성물은 pomolic acid 와 arabinose,
지유 glycoside B는 초보적 鑑定(감정)에서 glucuron酸(산)이 결합한 triterpenoid系(계) saponin이라고 말한다. 莖葉(경
엽)에는 qurcetin 과 kaempferol의 배당체와 ursol酸(산) 등 triterpenoid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비타민C가, 꽃에는
▶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alba Trautv. et Meyer) ▶자주가는오이풀(S. tenuifolia var. purpurea Trautv. et Meyer) ▶큰오이풀(S. stipulata Rafin.)은 백두산 자생종이다. ▶산오이풀(S. hakusanensis makino)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긴오이풀(S. longifolia Bertol.)은 속리산 이북에서 자란다.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상세설명
개요
고도가 낮은 산지 숲 가장자리, 들의 풀밭에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방추형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5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3~13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뿌리잎은 여러 장, 잎자루가 길고, 작은잎에 6~30mm의 자루가 있으며, 보통 턱잎이 있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 길이 3~5cm, 폭 1~4cm, 끝이 둥글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 윤이 난다. 꽃은 7~9월에 이삭꽃차례로 빽빽하게 달리며, 진한 붉은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차례는 곧추서며, 원통형, 길이 1~2cm, 폭 0.6~0.8cm다. 꽃받침은 4갈래, 꽃잎은 없다. 수술은 4개, 꽃밥은 어두운 갈색이다. 열매는 수과, 9월에 익으며 모서리를 따라 날개가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유럽,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긴오이풀에 비해서 작은잎은 타원형으로 길쭉하지 않으며, 꽃차례는 길이 1~2cm로서 짧으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수박풀, 외순나물, 외풀, 지우초라고도 부른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유럽,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서식지/생육지
숲 가장자리, 풀밭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방추형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50cm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13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뿌리잎은 여러 장, 잎자루가 길고, 작은 잎에 6~30mm의 자루가 있으며, 보통 턱잎이 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 길이 3~5cm, 폭 1~4cm, 끝이 둥글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 윤이 난다. 꽃은 7~9월에 이삭꽃차례로 빽빽하게 달리며, 진한 붉은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차례는 곧추서며, 원통형, 길이 1~2cm, 폭 0.6~0.8cm다. 꽃받침은 4갈래, 꽃잎은 없다. 수술은 4개, 꽃밥은 어두운 갈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모서리를 따라 날개가 있다.
생태
꽃은 7~9월에 핀다.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란다.
이용및활용
관상용으로 심으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해설
고려대학교 이정란 박사 연구팀은 한국산 장미과 오이풀속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에서 화서와 소엽의 크기 등에 따라 Sanguisorba argutidense 나 Sanguisorba glabularis가 북한 지역에 분포한다고 하였는데 오이풀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들과 함께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이정란, 이병윤, 김윤식 2000).
긴오이풀(S. longifolia Bertol.)에 비해서 작은 잎은 타원형으로서 길쭉하지 않으며, 꽃차례는 길이 1~2cm로서 짧으므로 구분된다.
어린 줄기와 잎은 오이 냄새가 나며 나물로 먹기도 한다. 뿌리를 지혈제나 이질의 치료 등에 약재로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