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특히 석회암지대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마자나기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는 50~90cm, 퍼진 털과 꼬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피침형이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깃꼴로 깊이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결각 모양의 큰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길이 9cm, 폭 3cm이고, 꽃싸개잎은 선형으로 3cm이다. 꽃은 7~9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주변부의 꽃은 5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꽃은 통모양꽃으로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 선형이다. 우리나라 경북, 강원 이북에 나며, 세계적으로 만주, 중국 등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꽃을 약용한다.
형태
두해살이풀로 높이 50~90cm이며 줄기는 곧추선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피침형이고 줄기잎은 마주나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큰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서로 달린다. 주변부의 꽃은 5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꽃은 통상화로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 선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