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이북 지방의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 나라의 특산 식물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키는 약 70센티미터 가량 된다. 잎은 줄기 중간에서 4~5장이 모여 좁게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약간 윤기가 난다. 꽃은 옅은 자주색으로 8~9월에 피는데, 종 모양으로 줄기 끝에 한두 송이가 밑을 향해 달린다. 꽃부리는 다섯 갈래로 얇게 갈라지며 꽃받침은 5장으로 끝이 뾰족하고 잔 톱니가 있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꽃밥은 서로 붙어서 암술을 둘러싼다. 은은한 보라빛의 금강초롱이 아래를 향해 다소곳이 숙인 모습은 깨끗하고 순수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용 도 : 관상용
금강초롱은 우리나라의 특산종으로 도라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이름에서 보듯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며 꽃모양이 청사초롱과 닮았습니다.보통 1000미터 이상의 산속 숲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강한 햇빛이나 더운 온도에 약합니다.꽃은 늦여름에 피기시작하며 우리나라의 중부와 북부에서만 발견됩니다.
+상세설명
개요
숲 속 그늘진 곳이나 산 정상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90cm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자색을 띠며 털은 없고 분지하지 않는다. 뿌리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4~6개의 잎이 어긋난다. 윗부분의 잎은 마디 사이가 짧기 때문에 모여나는 것 같고 난상 긴 타원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