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햇볕이 잘 드는 인가 부근, 버려진 공터, 시냇가 주변의 교란이 심한 곳, 길가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150~200cm, 거친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7~20cm, 폭 3~10cm이고, 밑이 둥글거나 심장형이다. 잎 양면은 거친 털이 난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3~6cm의 이삭꽃차례에 빽빽하게 피며, 분홍색이다. 꽃차례는 밑으로 조금 드리우거나 위로 선다. 화피는 5갈래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3~5mm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은 2갈래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2~3mm, 8~9월에 익는데 검은 갈색이며, 윤이 나고, 화피로 싸여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며,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퍼져 분포한다. 이 종은 잎몸이 넓은 난형으로 크며, 기부가 약간 심장 모양으로 되고, 흔히 턱잎의 가장자리가 잎 모양으로 되기도 하는 점에서 잎몸이 선형, 피침형 및 타원형으로 다소 작으며, 기부가 심장 모양이 아니고, 턱잎이 완전히 막질인 다른 여뀌류와 구별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전초를 약용하거나, 약재로 쓴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서식지/생육지
인가 부근, 버려진 공터, 시냇가 주변의 교란이 심한 곳, 길가
형태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150~200cm, 거친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7~20cm, 폭 3~10cm이고, 밑이 둥글거나 심장형이다. 잎 양면은 거친 털이 난다. 꽃은 8~9월에 가지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3~6cm의 이삭꽃차례에 빽빽하게 피며, 분홍색이다. 꽃차례는 밑으로 조금 드리우거나 위로 선다. 화피는 5갈래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3~5mm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은 2갈래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2~3mm, 검은 갈색, 윤이 나고, 화피로 싸여 있다.
생태
햇볕이 잘 들고 교란이 심한 곳에 자란다.
해설
인도가 원산인 본 분류군은 농가 부근 등 생태계가 교란된 지역에서 자라는 일년초로서 키가 2m까지 크게 자라며 가지를 많이 친다. 줄기에 가시가 없고 꽃이 많이 달리는 총상화서가 줄기 상부에 여럿 달리며 밑으로 숙이는 특징이 있다. 또 줄기와 잎자루 등에 잔털에 빽빽이 나 있으나 가시는 없다. 마디풀속 식물 중 폭이 8~14cm가량으로 큰 잎을 지니는 식물로 형태는 넓은 난형이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중국에서는 전초를 약으로 쓴다. 꽃은 혈액을 묽게 하고, 잎이 달린 줄기는 탈장을 치료하며 열매를 달인 물로 간염, 위염, 고창, 암 등을 치료하는 데 쓴다(Duke and Ayensu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