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식물도감 > 상세정보
잎 |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혁질이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고 난상 피침형이며 원저(圓底) 또는 심장저(心臟底)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짧은 털이
발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탁엽(托葉)은 초상의 막질로서 끝이 거의 수평하다. |
|
열매 | |
수과는 세모가 지고 화피로 싸여있다. | |
꽃 | |
7-8월에 연한 적색의 꽃이 1m 가량의 화경(花莖) 끝부분에 수상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4-5mm이고 화피는 4mm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수술은 8개로 화피보다 다소 길다. 화주는 3개이며 화피보다 훨씬 길다. | |
줄기 | |
줄기가 곧게 선다. | |
뿌리 | |
뿌리가 굵다. | |
원산지 | |
한국.. | |
분포 | |
▶중국 동북부, 북한, 시베리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함경도 고산지대의 산정 근처에서 자란다. |
|
형태 | |
다년초이다. | |
크기 | |
높이15-30cm에 달한다. | |
개요
높은 산 초원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50cm가량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뿌리는 굵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잎몸은 긴 삼각형이고, 가죽질이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난상 피침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집 모양의 턱잎은 막질이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이삭꽃차례이며, 꽃차례의 길이가 폭보다 긴 장타원형이고, 작은꽃자루는 4~5mm 정도이다. 꽃은 연붉은색, 화피는 5장, 난형, 수술은 8개며,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세모가 진다. 한반도 강원도와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시베리아 동부,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고산 지역에 분포하며 키가 50cm 정도 이하의 소형인 특징으로 둥근범꼬리와 비슷하나, 꽃차례가 폭보다 길이가 긴 장타원형이고, 작은꽃자루가 4~5mm 정도인 특징으로 둥근범꼬리와 구분한다. 두메범꼬리풀, 되범꼬리, 북범의꼬리, 오코쓰범의꼬리라고도 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전초를 약용하거나 약재로 쓴다.
형태
키는 50cm가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뿌리는 굵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며, 잎몸은 긴 삼각형이고, 가죽질이다. 경생엽은 잎자루가 없으며, 난상 피침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초 모양의 턱잎은 막질이다. 화서는 이삭화서이며, 꽃차례의 길이가 폭보다 긴 장타원형이고, 소화경은 4~5mm 정도이다. 꽃은 연붉은색, 화피는 5장, 난형, 수술은 8개며,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세모가 진다.
국내분포
북부지방
해외분포
러시아(시베리아 동부), 중국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이용및활용
하혈, 경련 등에 약용하며, 이뇨제의 약재로 쓴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해설
강원도와 북한지방의 고산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키가 50cm 정도 이하의 소형인 특징으로 둥근범꼬리와 비슷하나, 꽃차례가 폭보다 길이가 긴 장타원형이고, 소화경이 4~5mm 정도인 특징으로 둥근범꼬리와 구분할 수 있다.
본 분류군이 속한 범꼬리 종류는 독립된 속(Bistorta)으로 처리되기도 하며, 넓은 의미의 마디풀속(Polygonum)에 포함되기도 한다. 본 분류군을 마디풀속의 종으로 처리할 경우 학명은 Polygonum ochotense Petrov ex Kom.이다.
10월 22일
벗풀 (Arrow-Head) - 신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