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a itinerans
왕모람 비슷한 통칭 '제주애기모람'을 발견했어요!
광량에 따라 잎모양이 달라지는 미스터리한 식물ㅎㅎ
식물명 | 왕모람 (애기모람) |
---|---|
학 명 | Ficus thunbergii Maxim. |
영문명 | |
과 | 뽕나무과 |
원산지 | |
다년초여부 |
![]() |
기타 |
![]() ![]() |
꽃색 | |
번식법 | 씨앗 삽목 |
잎종류 |
꽃색 | |
잎 | |
잎은 호생하며 가죽질이고 길이 1-5㎝, 나비 1-2㎝인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길이 5-10㎜인 엽병에는 적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1-5쌍의 엽맥이 있다. 어린 싹의 잎은 1㎝이하로 가장자리에 2-3개의 파형의 거치가 있다. 잎이 소형이므로 애기모람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 | |
열매 | |
열매는 수과로 거친 털이 있으며, 둥근 모양으로 자루가 있고, 지름이 2cm 정도된다. 과경이 있는 열매는 모람보다 직경이 큰 15-17㎜이다. | |
꽃 | |
암수한그루로서 꽃이 액생하여 7-8월에 피고 수꽃과 암꽃 모두 주머니같이 생긴 은화서(隱花序)속에 밀생한다. | |
줄기 | |
어린싹의 줄기에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 |
원산지 | |
한국 | |
분포 | |
제주도의 표고 600m 이하의 계곡과 들에서 자란다. ▶일본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 |
형태 | |
상록의 덩굴성 식물. | |
크기 | |
줄기가 2-5m 정도. | |
왕모람, 애기모람, FicusThunbergii, 다년생, PerennialPlant, 뽕나무과, 덩굴식물, 상록수
10월 23일
흰 독말풀 (Thom Apple) - 경애
잎이 더 이쁜것 같아요..
이파리가 이뽀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