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세설명
+
상세설명
개요
양지바른 벌판 또는 들판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굵고 땅속으로 깊게 뻗어 들어가며 목질화된다. 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모여나고 높이 20~40cm 정도로 자라며, 털이 없고 윤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다닥다닥하게 달린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길이 1.7~3.0cm, 폭 0.4~0.9c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거의 없거나 매우 짧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서 20~25개가 머리모양꽃차례를 이루어 달리며 붉은색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8~12mm, 꽃받침 갈래는 5개, 수술은 10개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다. 한반도 제주도와 황해도 이북에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중국, 몽골, 러시아 등에도 분포한다. 줄기를 약용한다.
형태
식물체는 키 15-30cm이다. 뿌리는 목질이고, 분지한다. 줄기는 10-16개가 발달하며, 직립하고, 조밀하게 뭉쳐 있으며, 분지하지 않고, 녹황색 또는 녹색이다. 잎은 줄기에 골고루 달리며, 하면이 회녹색이고,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1.5-2×0.5-0.7cm, 예두이고, 원저이며, 양면 모두 무모이다. 엽병은 길이 0.5-1mm, 무모이고, 기부에 마디 같은 관절이 있다. 화서는 7-10개의 꽃이 달리는 형태이며, 너비 2-3cm이고, 화경은 없다. 꽃은 향기가 난다. 악통은 원통형으로, 길이 1-1.2cm, 무모이며, 악편은 5장, 3-3.5×2-2.5mm, 원두 또는 평두이다. 수술은 10개이다. 자방은 타원형이고, 길이 약 2.5mm로, 선단부에 털이 약간 있으며, 주두는 두상이다. 장과는 길이 2-5mm로, 숙존하는 악통에 싸인다.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굵으며 목질이고 깊이 뻗는다. 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모여나고 높이 20~40cm이며 털이 없고 윤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거의 없거나 매우 짧다. 꽃은 줄기 끝에 20~25개가 두상화서를 이루어 달리며 붉은색이다.
국내분포
한반도 분포: 함북, 평북, 황북, 제주
해외분포
분포: 대만, 러시아(시베리아 동부), 몽골, 중국, 중앙아시아
생태
개화기: 5-8월(결실기 9월)
이용및활용
줄기를 약용한다.
해설
본 종은 남한에서는 제주 동부의 오름 기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그러나, 남획과 식생의 변화로 인해 이 지역의 개체군은 절멸 위기에 처해 있다.
자료출처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이름의 유래에 얽힌 이야기도 함께 알수있으면 좋겠습니다.
Congratulation! You win the 39 Lucky Point!
뿌리의 색이 핏빛하고 같아서 피뿌리풀이라고 붙여진 아인데
이쁜 꽃하고는 풀이라는 이름이 안어울리기도 하네요.
대부분 풀이라고 붙여진 아이들은 아주 번성했던 아이들인데 지금은 야생에서는 볼 수가 없는 꽃이지 싶네요.
Congratulation! You win the 33 Lucky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