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根生葉)은 엽병이 길고 두대우열(頭大羽裂)되여 측열편(側裂片)은 소형으로 1-2쌍이고 소엽같은 부속체가 있고 정소엽은 크며 난상 원형 또는 심장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3-6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莖生葉)은 엽병이 짧고 도란형 또는 광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심장저 또는 예저로서 약간 또는 깊게 3렬하고 치아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탁엽(托葉)은 잎모양이고 성기게 치아모양의 톱니가 있다.
열매
암술대는 끝까지 남아 있고 끝이 갈고리처럼 굽으며 과탁에 길이 2-3mm의 털이 있다. 열매는 두상과(頭狀果)로서 다소 구형이고 수과에 강모(剛毛)가 밀생한다.
꽃
꽃은 황색으로 6월에 피며 취산화서로서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성기게 난다. 소화경에는 비로드같은 털이 있으며 부악편은 선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겉에 융모가 밀생하고 꽃이 핀 다음 뒤로 젖혀지며 꽃잎도 5개로서 원형이고 꽃받침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으며 꽃받침잎 가장자리에 착생한다. 암술과 수술은 많다.
줄기
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25-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경북(울릉도), 경기도(광릉)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25-100cm
+상세설명
개요
숲속이나 산기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갈라지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높이 20~60cm,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깃꼴겹잎이다. 끝의 작은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끝은 둔하고 잎 가장자리는 이빨 모양이다. 옆의 작은잎은 2~4장, 가장자리는 갈라지지 않거나 둔한 톱니 모양이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노란색이고, 가지 끝에서 1개씩 달리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수과, 7~9월에 익으며, 겉에 황갈색 털이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 울릉도,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큰뱀무에 비해 키가 작고, 뿌리잎의 가운데 끝의 작은잎은 난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보통 둥글며, 줄기 위쪽에 난 잎은 홑잎이므로 구분된다. 잎은 식용하고, 전초를 약용한다. 배암무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배암무
국내분포
중부 이남, 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일본, 중국
서식지/생육지
숲 속, 산기슭
형태
줄기는 곧추서며, 갈라지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높이 20~60cm,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깃꼴겹잎이다. 끝의 작은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끝은 둔하고 잎 가장자리는 이빨 모양이다. 옆의 작은잎은 2~4장, 가장자리는 갈라지지 않거나 둔한 톱니 모양이다. 꽃은 노란색, 가지 끝에서 1개씩 달리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수과, 겉에 황갈색 털이 있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9월에 피며, 열매는 7~9월에 익는다.
해설
큰뱀무(G. aleppicum Jacq.)에 비해 키가 작고, 뿌리잎의 정소엽은 난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보통 둥글며, 줄기 위쪽에 난 잎은 홑잎이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