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a itinerans
|
분 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
형 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
크 기 | 높이가 2m에 달한다. |
잎 |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엽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
열 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
줄 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분지하지 않는다. |
뿌 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고, 다시 지하경에서 뿌리가 성글게 내린다. |
생육환경 |
▶반그늘에서도 자라나 양지의 풀숲에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점질양토에서 자라나 습기가 있는 토양이면 어디서나 잘 자란다. |
광선 | 양생,중생 | 내한성 | 토양 | 보통비옥 | 수분 | 습윤 |
---|
꽃/번식방법 |
개화기는 8~10월로 꽃의 색은 백색 또는 연붉은 자색으로 작은 꽃이 핀다. |
개화기 | 8월,9월,10월 | 꽃의 색 | 붉은색,보라색,흰색 |
---|
재배특성 |
노지에서 월동 생육하며, 충분히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 이식성은 보통이다. |
재배작형 | 파종기 | 이식기 | 결실기 | 삽목기 |
---|
이용방안 |
▶어린 순은 식용한다. ▶정원이나 공원 등지에 심어 관상한다. ▶全草 또는 根을 秤杆草(칭간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②성분 : 잎은 taraxasteryl palmitate, taraxasteryl acetate, taraxasterol을 함유한다. ③약효 : 發表(발표), 散寒(산한), 透疹(투진)의 효능이 있다. 脫肛(탈항), 發疹(발진)하지 않는 홍역, 류머티性의 腰痛(요통), 감기로 인한 咳嗽(해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이던가 또는 가루를 만들어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
유사종 |
▶골등골나물(E. lindleyanum DC.) ▶향등골나물(E. chinensis L. for. tripatitum Hara) : 잎이 3개로 갈라지고 정열편은 크며 긴 타원형이지만 측열편이 작고 피침형이다. ▶벌등골나물(E. fortunei Turez.) |
등골나물, EupatoriumChinense, 국화과, 등골나물동물/식물
10월 22일
벗풀 (Arrow-Head) - 신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