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억세고 엽초는 회백색이나 밑쪽은 갈색이고 숙존성이다. 잎 횡단면상에 배열되는 수지도는 중위이다. 잎은 짙은 녹색이며 길이 9-14cm, 폭 1.5mm로서 다소 비틀리고 끝이 뾰족하며 아린(芽鱗)은 회백색으로서 2-3년 동안 남아 있다.
열매
구과는 50-60개의 실편(實片)으로 구성되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45-60mm, 폭 30-40mm로서 녹갈색으로 익고 실편은 중앙부가 나오지만 중앙부의 돌기가 뾰족하지 않다. 종자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표면의 색은 자흑색이며 길이 7-8mm로서 겉이 거칠고 자흑색이며 날개가 넓은 피침형으로서 둔두이다. 자엽(子葉)은 4-8개이지만 보통 6개이다. 소나무처럼 늦봄쯤에 수분이 이루어진 다음 수정이 되어 구과는 성숙하는데 2년이 걸린다. 열매는 이듬해 9월에 성숙한다.
꽃
꽃눈은 눈의 중산 부분이 팽창해서 굵다. 5월에 개화한다. 웅화수(雄花穗)는 원통형으로서 그 해에 자란 축(軸)의 중간보다 높은 곳에 모여 나며 길이 1.5cm이고 자갈색이며 각 인편에는 2개의 꽃밥이 달린다. 자화수(雌花穗)는 난형이고 길이 6mm이며 인편이 연한 적색에서 자적색으로 변한다.
줄기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며 가지가 억세고 조잡해 보이며 한해에 가지를 내는 층이 하나로서, 이러한 특성은 단일절이라 한다. 그래서 가지의 윤층의 수를 계산함으로써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다. 수피는 흑갈색이고 동아는 백색이다.
뿌리
직근과 측근이 모두 왕성하다.
원산지
한국
형태
상록침엽교목
크기
수고 20m 이상, 직경 1m
+상세설명
개요
해안 산기슭에 자라는 늘푸른 바늘잎 큰키나무다. 잎은 바늘 모양으로 2개가 뭉쳐난다. 수솔방울은 황색, 암솔방울은 자색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의 구과이며, 50~60개의 작은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씨는 날개가 있다. 바람과 염분에 저항성이 강해 바닷가에서 방풍...
국내분포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해외분포
일본
서식지/생육지
주로 해안 산기슭
형태
높이 35m, 지름 2m 정도 자란다. 줄기의 겉껍질은 흑갈색이다. 잎은 바늘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2개가 뭉쳐나고, 짙은 녹색, 길이 9~14cm, 폭 1.5mm다. 수솔방울은 원통형으로 황색, 암솔방울은 달걀 모양으로 자색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의 구과이며,...
생태
우리나라에서는 서부로는 경기 남양, 동부로는 경북 울진을 경계로 해서 이 지방 남쪽 바닷가에서 자란다(Kim et al. 1997).
해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소나무 종류 중에서 잎이 2개씩 달리는 종은 본 분류군인 곰솔과 내륙 지방의 산에서 자라는 소나무뿐이다.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에 비해 곰솔은 수피가 회색을 지닌 검은색이며 2년 된 가지의 껍질이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