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해발고도 200∼1,800m의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로 높이 3~6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는 가시가 있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은 날카롭고 밑은 쐐기 모양,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겹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산방꽃차례로서 가지 끝에 달린다.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 조각과 더불어 5개로 되어 있다. 수술은 20개이며 암술대는 3~5개, 꽃밥은 붉은색이다. 열매는 이과(梨果), 둥글거나 달걀 모양, 9∼10월에 암자색으로 익는다. 산사나무 잎은 국화잎처럼 가장자리가 깊게 파져 있어서 잎 모양이 독특한데 자작잎산사나무는 잎이 갈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어 구분된다. 북부지방 함경남도에 자라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관상용, 밀원용으로 심으며, 목재는 공예품을 만든다. 정원수로 사용하며, 열매는 약용 및 식용한다. 작살잎산사 또는 자작잎산사라고도 부른다.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경사 지대에 자라는 낙엽 작은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4~8m이며, 가시가 있고, 줄기껍질은 회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도란형, 길이 6~8cm, 폭 5~6cm, 깃꼴로 갈라진다. 잎 뒷면은 맥을 따라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6cm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15~20개가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고, 지름 1.0~2.0cm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겉에 털이 난다. 열매는 이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고 흰 반점이 있다. 열매는 이과이며, 둥글고, 9~10월에 붉게 익고 흰 반점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등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아광나무는 잎이 얕게 갈라지며, 뒷면에 잔털이 많으므로 구분된다. 또한 잎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지 않는 미국산사와 구별된다. 관상용, 밀원용으로 심으며, 목재는 공예품을 만든다. 열매는 약용 및 식용한다.
형태
높이 3~6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는 가시가 있다.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 조각과 더불어 5개로 되어 있다. 수술은 20개이며 암술대는 3~5개, 꽃밥은 붉은색이다. 산사나무 잎은 국화잎처럼 가장자리가 깊게 파져 있어서 잎 모양이 독특한데 자작잎산사나무는 잎이 갈라지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다.
낙엽 작은키나무다. 줄기는 높이 4~8m이며, 가시가 있고, 줄기껍질은 회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도란형, 길이 6~8cm, 폭 5~6cm, 깃꼴로 갈라진다. 잎 뒷면은 맥을 따라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6cm다. 꽃은15~20개가 산방꽃차례로 피며, 흰색, 지름 1.0~2.0cm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겉에 털이 난다. 열매는 이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고 흰 반점이 있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러시아 동북부
생태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맺는다. 전국의 숲속에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이다.
이용및활용
관상용, 밀원용으로 심으며, 목재는 공예품을 만든다. 열매는 약용 및 식용한다.
해설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아광나무(C. maximowiczii C. K. Schneid.)는 잎이 얕게 갈라지며, 뒷면에 잔털이 많으므로 구분된다.
가을에 붉게 익는 열매를 보기 위해서 정원수로 심는다.
소화제로 쓰이기도 하며 동상, 요통에도 쓰인다. 최근 본 분류군의 열매가 피부에 생기는 종양의 발달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밖에 염증을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약 개발의 가능성이 높은 식물이다.(Kao et al. 2007; Li et al. 2010)
자료출처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