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모두 근생엽이고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고 열편에 톱니가 있으며 끝에 둔하고 밑부분은 심장저로서 양쪽 밑부분이
합쳐질 정도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 3cm정도로서 양면에 연한 잔털이 있고 엽병은 엽신보다 2-3배 길며 연한 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원주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길이 30cm의 화경(花莖) 끝에 3-6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는 선형이며 화경과 더불어 연한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길이 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연한 털이 있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3mm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통부의
길이가 10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파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함경도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키 30cm
+상세설명
개요
북부지방의 숲 속 바위틈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 나며, 긴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둥근 난형으로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긴 꽃줄기 끝에 3~6개가 우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
다른국명
바위깨풀
국내분포
양강도
해외분포
중국(동북부)
서식지/생육지
숲 속 바위틈
형태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 나며 긴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둥근 난형으로 길이 3.5~8.0cm, 폭 2.5~6.0cm,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자주색으로 피며, 길이 10~25cm인 꽃줄기 끝에 3~6개가 우...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해설
전국에 분포하는 앵초(Primula sieboldii E. Morren)와 비교하여 북부지방에 자라며, 잎은 난형으로 크기가 작으므로 구분된다. 바위깨풀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