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삼각상 넓은 난형이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10~30cm로 엽병 윗부분과 마디에 퍼진 털이 있다.
소엽은 3~5개이지만 다시 3~5개로 깊게 또는 전부 갈라져서 잎이 흘러 날개모양이 되고,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5~10cm, 폭
2~4cm로 결각상의 거치와 날카로운 거치가 있고,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싸고 있다. 상부의 잎은 작지만 엽병은 길며 도란형의
엽초로 되고, 흔히 자줏빛이 돈다.
열매
열매는 타원형이며 편편하고 길이 5mm이며 늑(肋)사이에 1-4개, 합생면에 4-6개의 유관이 있고 좌우에 날개 모양이 되어 있다.
꽃
8~9월에 긴 화경끝에 복산형화서로 발달하며 산경은 가지 안쪽과 더불어 잔돌기가 있고 10-20개의 소산경은 길이 3-6cm로서 끝에
20-30개의 짙은 자주색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총포는 1~2개이고, 소화경은 길이가 5~10mm이다.
줄기
높이 80-150cm이고 세로로 조선이 발달한다.
뿌리
근경은 짧고, 뿌리가 굵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남부, 중부, 북부지방에 자생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80~150cm
+상세설명
개요
숲 가장자리나 개울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지름 1~2cm, 갈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50cm, 보통 자줏빛 녹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 13~36cm로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잎몸은 1~2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가운데 갈래잎 밑은 아래로 흘러 날개가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자주색이며, 줄기와 가지 끝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린다. 모인꽃싸개잎은 1~2개, 작은모인꽃싸개잎은 5~7개, 보통 자줏빛이 돈다. 꽃잎은 도란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다. 열매는 분과로 9월에 익으며 편평한 타원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베트남,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참당귀에 비해 작은잎의 밑부분이 흘러 날개 모양으로 되고 꽃잎이 오목하게 들어가지 않아 구분된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사약채라고도 한다.
다른국명
사약채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베트남, 러시아, 일본, 중국
서식지/생육지
숲 가장자리, 개울가
형태
뿌리는 지름 1~2cm, 갈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50cm, 보통 자줏빛 녹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 13~36cm로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잎몸은 1~2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가운데 갈래잎 밑은 아래로 흘러 날개가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자주색, 줄기와 가지 끝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1~2개, 작은 총포는 5~7개, 보통 자줏빛이 돈다. 꽃잎은 도란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다. 열매는 분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해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에 비해 작은 잎의 밑부분이 흘러 날개 모양으로 되고 꽃잎이 오목하게 들어가지 않아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