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의 개불알꽃속(―屬 Cypripedium)에 속하는 다년생초.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고 마디에서 새싹이 나오며 곧추선 줄기에는 털이 나 있다. 키는 30~40cm 정도이다. 줄기 밑쪽에 달리는 3~4장의 잎은 얇고 줄기를 완전히 감싸나 위쪽에 달리는 2장의 잎은 마주보는 것처럼 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지름이 10~20cm 정도로 크다. 꽃은 연한 초록색이며 4~5월에 줄기 끝에 1송이씩 핀다. 꽃의 다른 부위는 다른 난과식물들과 비슷하나, 하얀색 바탕에 붉은 자주색 반점들이 있는 입술꽃잎[脣辦]이 주머니처럼 만들어진 점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광릉 일대에서 자라고 있으며 뿌리에서는 지린내가 난다. 꽃이 아름다워 뜰에 심기도 하고 반그늘지며 물기가 조금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중국에서는 피부병이나 월경불순에 광릉요강꽃을 쓰고 있다.
광릉복주머니란, 부채잎작란화라고도 하고 영어로는 숙녀의 슬리퍼(Japanese lady`s slipper)란 이름을 가진다. 한방에서는 선자칠(扇子七)이라고 하여 약으로 쓰는데 해독, 진통등에 쓰인다
생육환경 |
반그늘이 지는 경사면에서 잘 자란다. |
|
광선 |
중생 |
|
꽃/번식방법 |
▶노지재배에서는 3년에 한번 정도의 포기나누기가 필요하며 배양토에 부엽토의 보충이 필요하다. 근경을 구한다면 가을이나 이른봄(즉 잎이 없는 시기)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포기나누기는 새눈에 묵은 지하경을 4-5마디 이상 붙인 것을 한 포기로 해서 나눈다. 꽃이 잘피고 그 후의 생육을 쇠약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으면 지하경을 길게 잘라 나눈다. |
|
재배특성 |
▶식재요령 ①광릉요강꽃의 지하경은 길게 신장하므로 보통 분에서의 배양은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②육묘상자나 스치로폴 상자와 같은 넓은 용기에 심든지, 또는 정원에 심는 것이 적합하다. 육묘상자에 심는 경우는 4-6mm의 산모래나 일향토 단용 또는 부엽토를 2-3할 섞은 것으로 심는다. ③분갈이는 3년에 1번, 11월-3월에 한다. 정원에 심는 경우는 남쪽과 서쪽의 벽근처가 적지이다. ④대만 요강꽃은 지하경이 짧으므로 4-5치 분을 사용한다. 산모래에 부엽토를 2할 정도 섞어서 심어도 좋다. ▶관리 ①일조 : 오전 중 1-2시간은 해가 비치고 그 후는 반그늘이 되도록 한다. 될 수 있으면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에서 관리한다. 강한 햇빛을 받으면 잎이 타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겨울은 서리가 내리기 전에 보호실에 넣고 얼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원에 묻어서 월동을 시켜도 좋다. ②물주기 : 봄-가을은 건조하지 않도록 담뿍 주며, 겨울은 5-7일에 1번 정도 주는데 용토가 약간 습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③시비 : 4-6월과 9-10월에 하이포넥스1000배액 등 액비를 월2회준다. 동시에 꽃이 진 후와 9월 중순에 마감프k(대립) 등의 지효성 화학비료를 1주당 몇 개 정도 놓는다. 耐署性(내서성)을 높이고 뿌리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다찌가렌2000배액을 5-9월에 매월 1-2회 해가 진후 포기 주위에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