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포
만주, 중국, 동부시베리아에 분포.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 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크 기
높이가 90cm에 달한다. 잎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으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이 있다. 표면에는 작은 선점이 있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2.5c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0.5-2cm로서 털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꽃잎에는 홍자색의 줄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와 더불어 처지지만 끝이 위를 향한다. 자방은 5실이다. 열 매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줄 기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가 90cm에 달하며 줄기의 윗부분에 털이 퍼져 난다. 뿌 리
굵은 뿌리가 있다.
해발 800m 이하의 낮은 야산에서 양지바른 풀밭에 키가 낮은 잡목들과 더불어 생육한다.
- 꽃번식방법 -
7월경에 채취한 종자를 낙엽수 하부에 직파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하고 1년 후에 이식한다. 자생지 환경조건은 상당히 메마른 곳이지만 재배시에는 어린묘의 경우 습기를 충분히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다. 뿌리가 대단히 큰 식물이므로 분주는 어렵다.
- 재배특성 -
배수성이 양호한 사질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특히 충분히 성숙한 식물체는 지하부의 습기에 약하다. 그러나 어린묘는 습기를 잘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양지성 식물이며 강한 관선에서도 잘 견딘다. 성장속도가 대단히 빠른 식물이다. 특별한 시비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식물이다. 과다한 시비는 식물체를 도장시키고 관상가치를 떨어뜨린다.
재배작형
파종기
7월,8월
이식기
9월,10월
결실기
7월,8월
▶꽃의 향기가 뛰어나고 관상가치가 있으므로 화단용 식물로 이용이 가능하다. ▶지하부가 튼튼하여 토양을 고정시키는 능력이 강하므로 절사면 녹화용식물로 적합하다. 뿌리로 지상으로 노출시켜 초물분재로 이용하여도 좋다. ▶근피(根皮)를 白蘚皮(백선피)라 하며 약용한다. ①북부지방에서는 봄과 가을에, 남부지방에서는 여름에 뿌리를 캐어 깨끗이 씻어 수염뿌리와 粗皮(조피)를 제거하고 신선할 때 세로로 쪼개서 중심부에 있는 목질부(木質部)를 빼내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dictamnine, dictamnolacton, trigonellin, sitosterol, obacunonic acid, choline, fraxinellone이 함유되어 있고 지상부분에는 psoralen과 xanthofoxin이 들어 있다. ③약효 : 祛風(거풍), 燥濕(조습),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熱瘡毒(풍열창독), 疥癬(개선), 皮膚痒疹(피부양진),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비통), 황달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세척한다.
- 보호방안 -
대량으로 인공증식하여 경제작물로 이용함으로써 개체수를 늘리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 유사종 -
▶털백선(D. dasycarpus Turez. var. velutinus)은 잎에 털이 많으며 청진에서 자란다.
- 특 징 -
산호랑나비 애벌레의 숙주식물 방향성 식물, 속명 Dictamnus는 고대 희랍명으로 dicte(산에서)란 뜻으로 이 식물의 생육지를 나타내고, 종명은 열매에 거센 털이 있다는 뜻이다.
+상세설명
개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북부, 몽골, 러시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60~90cm, 밑부분이 딱딱하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2~4쌍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톱니...
국내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중국 북부, 몽골, 러시아 동부
서식지/생육지
숲 안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60~90cm, 밑부분이 딱딱하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2~4쌍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꽃은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붉은색, 지름 2.5cm쯤이다. 꽃차례와 꽃자루에 기름구멍이 ...
생태
꽃은 5~6월에 핀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과 들에 자란다.
해설
우리나라의 운향과 식물들 가운데 유일하게 나무가 아닌 풀이므로 구분된다. 깃꽃겹잎인 잎이 어긋나기로 달리고 줄기에 미세한 돌기가 있어 냄새가 나는 초본의 특징으로 본 분류군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잎의 중심축과 잎자루에 날개가 발달한다.뿌리는 약으로 쓴다. 한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