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2-8cm, 폭 1.5-3cm이고 가장자리에는 결각상의 복거치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엽맥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뒷면은 맥이 돌출하고 맥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15mm이며 탁엽은 선형으로 좁고 길며 일찍 떨어진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 남아있는 꽃받침 속에서 8-9월에 흑갈색으로 익는다.
꽃
꽃은 완전화로서 가지 끝에 1개씩
피며 지름 3-4cm이고 황색이며 측지끝에서 잎과 같이 피고 소화경은 길이 2cm에 달한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 첨두로서 털이 없으며
잔톱니가 있고 꽃잎은 많첩이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고 심피는 5개(간혹 8개)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줄기
소지는 녹색으로 능선이 지고 털이 없다. 모든 줄기가 뿌리에서 모여 난다.(총생(叢生))
원산지
한국
분포
중부 지방 및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 2m에 달한다.
+상세설명
개요
민가 주변, 공원, 정원 등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다. 높이 1.5~2.0m, 어린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 길이 3~7cm, 폭 2.0~3.5cm, 끝은 점차 길게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뒷면의 맥은 튀어나오며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15mm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2cm 정도로 노란색이고, 꽃자루는 길이 2cm쯤이다. 꽃잎은 여러 장이 겹쳐 있으며, 둥근 난형이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5개다. 열매는 작은 견과이며, 9월에 꽃받침 안에서 검은 갈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식재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원변종인 황매화에 비해서 겹꽃이며, 민가 주변에 관상용, 울타리용으로 심는다.
다른학명
Kerria japonica (L.) DC. var. pleniflora Witte:
(1868).Flora Afbeeld. Beschrijv, 261, t. 66.
국내분포
중부 이남
해외분포
일본, 중국
서식지/생육지
산지, 민가 주변(식재)
형태
높이 1.5~2.0m,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 길이 3~7cm, 폭 2.0~3.5cm, 끝은 점차 길게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뒷면의 맥은 튀어나오며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15mm다. 꽃은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2cm 정도로 노란색이고, 꽃자루는 길이 2cm쯤이다. 꽃잎은 여러 장이 겹쳐 있으며, 둥근 난형이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5개다. 열매는 작은 견과이며, 꽃받침 안에서 검은 갈색으로 익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