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메나무 Fraxinus mandshurica Rupr. Juglans mandshurica Maxim trees
식물명
들메나무
학 명
Fraxinus mandshurica Rupr.
영문명
Manchurian Ash
과
물푸레나무과
원산지
대한민국
다년초여부
기타
꽃색
번식법
씨앗
잎종류
최저온도
-35~℃
휴면온도
5℃
적정온도
20~25℃
발아온도
25~℃
파종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개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결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상세설명
잎
잎은 대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으로서 소엽은 3-17(보통 9~11)개인데 소엽병이 없으며 긴 타원상 난형,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것도 있고 예저이며 길이 7-22cm로서 표면은 암록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기부 근처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맹아의 잎은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고 엽축에 날개가 있다.
열매
열매는 길이 2.5~4.0cm의 시과로서 긴타원상 피침형이고 미요두 간혹 둔두로 9~10월에 익는데 종자결실의 풍흉이 심하다.
꽃
꽃은 자웅이가화로 5월에 전년지의 엽액에서 복총상화서로 피고 꽃이 많이 달리며 화피가 없고 수꽃은 2개로 갈라진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2개의
수술과 1개의 자방이 있고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줄기
줄기는 곧고 수피는 밋밋하지만 세로로 약간 골이 졌으며 소지는 녹갈색이고 흰반점이 있으며 털이 없고 한쪽으로 편평해지며 동아는 암갈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충청남북도를 제외한 전국의 심산과 표고
50~1,500m 지대에 분포한다.대둔산, 무등산, 지리산, 내장산, 덕유산, 설악산, 금강산과 일본의 기부현, 북해도, 중국의 만주, 시베리아
사할린 등에서 자란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수고 30m, 직경 1m 정도.
+상세설명
개요
깊은 산의 골짜기나 냇가에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높이 30m, 지름 2m까지 자란다. 수피는 연한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홀수 1회 깃꼴겹잎으로 작은잎은 보통 9~11장이다. 작은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8~22cm, 폭 2~8cm, 끝은 뾰족하다. 잎 뒷면...
다른국명
떡물푸레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극동), 일본, 중국(동북부)
서식지/생육지
깊은 산의 골짜기, 냇가
형태
높이 30m, 지름 2m까지 자란다. 수피는 연한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홀수 1회 깃꼴겹잎으로 작은잎은 (3~)9~11(~17)장이다. 작은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8~22cm, 폭 2~8cm, 끝은 뾰족하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생태
낙엽큰키나무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해설
물푸레나무(F. rhynchophylla Hance)에 비해 작은잎은 보통 9~11장으로 보다 많고, 잎 아래에 갈색 털이 밀생하고 꽃차례는 작년가지에서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