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길이 2.5-9cm, 나비 1.2-4cm로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윤생 또는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과 가장자리에 잔털이 산생한다.
열매
삭과는 둥글고 지름 4mm정도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끝에 길이 4.5mm정도의 곧은 암술대가 달려 있다.
꽃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5-2cm로서 황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서 곧추선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6mm정도로서 털이 없고 꽃잎은 5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양면에 황색 선모가 있어 마치 꽃가루가 묻어 있는 것같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이 붙어 있다.
줄기
높이 50-100cm이고 능각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것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가 50-100cm 가량 된다.
+상세설명
개요
깊은 산 속의 다소 습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퍼지고 줄기는 곧추서며 분지하고 능각이 있으며 높이 50~100cm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3장씩 돌려나고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과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짧다. 꽃은 6~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며 꽃부리는 5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양면에 황색 샘털이 있다. 수술은 5개로 밑부분이 붙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고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끝에 곧은 암술대가 달려 있다. 우리나라 함남, 강원, 경기, 경북, 충북 등에 분포하는 한반도 특산종이다. 이 종은 잎이 윤생하거나 마주나는 점에서 좁쌀풀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꽃이 줄기 끝 근처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나오고, 꽃잎의 끝이 뾰족하며 약간 뒤틀리며, 꽃잎 기부에 짙은 홍색 무늬가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형태
다년초로 근경이 퍼지고 줄기는 곧추서며 분지하고 능각이 있으며 높이 50~100cm이다. 잎은 대생 또는 3엽 윤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과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엽병은 짧다. 꽃은 황색이고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며 화관은 5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양면에 황색 선모가 있고 수술은 5개로 밑부분이 붙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고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끝에 곧은 암술대가 달려 있다. 개화기는 7~9월이다. 씨로 번식한다.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본 종의 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대생 또는 3엽 윤생하고 연모가 있으며 꽃은 황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