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당나무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식물명
백당나무
학 명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영문명
과
인동과
원산지
다년초여부
기타
꽃색
번식법
씨앗
잎종류
파종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개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결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상세설명
개요
고도가 낮은 산지의 숲속이나 가장자리에 흔하게 자라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껍질에 코르크가 발달하며, 골속은 희고, 높이 3~6m 정도로 자란다. 어린가지는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위쪽이 보통 3갈래로 갈라지고, 넓은 난형, 길이와 폭이 각각 4~12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에 턱잎이 2장 있고, 끝에 큰 샘점이 2개 있으며, 1~5cm다. 꽃은 5~6월에 피며 햇가지 끝에서 난 길이 2~6cm의 꽃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차례 가장자리에는 지름 2~3cm의 중성꽃이, 안쪽에는 지름 5~6mm 정도의 양성꽃이 달린다. 수술은 5개, 꽃부리보다 길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글고, 지름 8~10mm,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중부 및 북부, 내몽골,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의 모양으로 보았을 때 배암나무와 비슷하나 양성꽃과 중성꽃을 갖는 특징에서 의해서 구분된다. 또한 정원수로 심는 불두화는 모두 생식 기능이 없는 장식화만으로 구성되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중부 및 북부, 내몽골, 일본, 러시아 동북부
서식지/생육지
고도가 낮은 산지의 숲
형태
떨기나무다. 줄기는 껍질에 코르크가 발달하며, 골속은 희고, 높이 3~6m다. 어린 가지는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위쪽이 보통 3갈래로 갈라지고, 넓은 난형, 길이와 폭이 각각 4~12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에 턱잎이 2장 있고, 끝에 큰 샘점이 2개 있으며, 1~5cm다. 꽃은 5~6월에 피며 햇가지 끝에서 난 길이 2~6cm의 꽃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차례 가장자리에 지름 2~3cm의 중성꽃이 달린다. 수술은 5개, 화관보다 길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글고, 지름 8~10mm, 붉게 익는다.
생태
꽃은 5~6월에 핀다. 전국의 산에 비교적 흔하게 자란다.
해설
본 분류군은 흔히 잎이 세 갈래로 갈라져 있고, 꽃이 취산화서에 달리는데 화서의 가장자리에 달린 꽃은 암술과 수술이 없는 중성화인 특징을 갖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중성화는 지름이 약 3cm가량이고 양성화는 5~6mm 정도로 두 종류의 꽃의 형태나 크기가 다르다. 이런 화서의 형태로서 백당나무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산분꽃나무속 식물들 중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분류군이다. 잎의 모양으로 보았을 때 배암나무와 비슷하나 양성화와 중성화를 갖는 특징에서 의해서 구분된다.
본 분류군이 속한 산분꽃나무속은 광의의 인동과에 속하나(APG III, 2009), 2007년 발간된 한국속식물지에서는 독립된 과로 처리하고 있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서 관상수로 정원에 심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