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a itinerans
목 명 | 통화식물목 | 한 글 | 긴병꽃풀 |
---|---|---|---|
과 명 | 꿀풀과 | 한 자 | 連錢草 |
속 명 | 향 명 | 장군덩이 | |
구 분 | |||
학 명 |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 ||
일 어 | |||
영 문 | Longtube ground lvy |
일반정보 |
원산지 | 한국 |
---|---|
분 포 | 한국, 중국, 러시아극동부, 원종은 북반구 온대에 널리 분포한다. 북부 산지에서 자란다. |
형 태 | 다년생 초본. |
크 기 | 높이가 5-20cm정도에 이른다. |
잎 | 잎은 대생하고 신장상 원형이며 원두 심장저이고 길이 1.5-2.5cm, 폭 2-3cm이며 표면에는 복모 또는 부드러운 털이 산재하고 뒷면은 자줏빛을 띠고 튀어나온 엽맥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둥근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6cm이고 줄기와 더불어 퍼진 털이 있다. |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1-3개씩 엽액에서 윤산화서로 핀다. 꽃받침은 통상으로 길이 7-9mm이고 겉에 털이 있으며 5개 조각으로 갈라지고 열편 끝은 바늘처럼 뾰족하다. 화관은 길이 15-25mm로서 상순은 요두이고 하순은 3개 조각으로 갈라지며 상순의 것보다 2배가량 길고 안쪽에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2강이다. |
열 매 | 분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1.8mm이고 흑갈색으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6월에 익는다. |
줄 기 | 높이 5-20cm이고 줄기는 모가 지며 처음에는 곧게 자라다가 옆으로 길이 50cm가량 뻗고 퍼진 털이 있다. |
뿌 리 | 지하에 가늘고 긴 백색의 지하경이 가로 뻗으며 번식하고 지면에서는 포복지가 0.5mm의 길이로 옆으로 뻗으며 군집을 이룬다. |
생육환경 |
숲변두리, 개울가 등 습한 양지에서 자란다. |
광선 | 내한성 | 토양 | 수분 | 습윤 |
---|
꽃/번식방법 |
개화기 | 4월,5월 | 꽃의 색 | 보라색 |
---|
재배특성 |
재배작형 | 파종기 | 이식기 | 결실기 | 6월 | 삽목기 |
---|
이용방안 |
▶긴병꽃풀/병꽃풀의 全草(전초) 혹은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金錢草(금전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4-5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금전초에는 芳香型(방향형)과 非芳香型(비방향형)의 두 종류가 있다. 방향형은 다량의 monoterpenoid類(류)를 함유하며, 그 주요성분은 l-pinocamphone, l-menthone, l-pulegone이다. 또 α-pinene, β-pinene, limonene, p-cymene, isomenthone, isopinocamphone, linalool, menthol, α-terpineol을 함유한다. 이외에 ursolic acid, β-sitosterol, palmitic acid, succinic acid, 다종의 아미노산, tannin, 苦味質(고미질), choline, potassium nitrate 등을 함유하고, 지하부분에 stachyase를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尿(이뇨), 强壯(강장), 鎭咳(진해),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황달, 水腫(수종), 膀胱結石(방광결석), 해독, 말라리아, 肺癰(폐옹-폐의 농양, 肺壞疽(폐괴저) 등), 咳嗽(해수), 吐血(토혈), 淋濁(임탁), 帶下(대하), 류머티즘痛(통), 소아빈혈증, 痙攣(경련), 癰腫(옹종), 瘡癬(창선), 濕疹(습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그거나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거나 또는 짜낸 즙을 바른다. |
|
긴병꽃풀, 금전초, GlechomaHederacea, 꿀풀과, 긴병꽃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