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는 수공예품인 가구의 목재로 이용되고 있고 씨앗은 식요이 가능하며 기름을 생산하는데 이용하고
어린 잎은 요리에 이용되고 껍질은 강한 항균효과가 있다.
+상세설명
개요
일본과 타이완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상록성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0m, 지름 50~80cm이고, 나무껍질은 검은 갈색 또는 잿빛 갈색을 띠며 비늘조각 모양으로 벗겨지며 어두운 갈색의 동심원상 무늬가 생긴다. 어린가지는 녹색이며 겨울눈은 피침형이다. 잎은 十자 모양으로 번갈아 마주난다. 잎자루는 짧고, 잎몸은 난형, 타원형,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죽처럼 두껍고 길이 4~8cm, 폭 1~3cm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앞면은 반들거리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색 빛이 도는 노란색이다. 구화수는 5~6월에 달리는데 수구화수는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나며, 암구화수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가지에 나며 수 개의 비늘조각이 감싸듯 달린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씨는 둥글며 지름 10~15mm, 흰 가루가 묻은 것 같은 녹색이며 바깥껍질은 두툼하고 안쪽 껍질은 딱딱하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나한송에 비해 잎이 난형 내지 긴 타원형으로 보다 넓으며, 씨는 보다 둥글므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약용하며, 한방비누의 약재로 쓴다.
국내분포
식재
해외분포
일본, 대만
서식지/생육지
식재
형태
줄기는 높이 20m, 지름 50~80cm, 나무껍질은 검은 갈색 또는 잿빛 갈색을 띠며 비늘조각모양으로 벗겨지며 어두운 갈색의 동심원상 무늬가 생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겨울눈은 피침형이다. 잎은 十자 모양으로 번갈아 마주 나며, 잎자루는 짧고, 잎몸은 난형, 타원형,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죽처럼 두껍고 길이 4~8cm, 폭 1~3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윗면은 반들거리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색 빛이 도는 노란색이다. 웅성구화수는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나며, 자성구화수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가지에 나며 수 개의 비늘조각이 감싸듯 달린다. 씨는 둥글며 지름 10~15mm, 흰 가루가 묻은 것 같은 녹색이며 바깥껍질은 두툼하고 안쪽 껍질은 딱딱하다.
생태
상록성 큰키나무다. 구화수는 5~6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해설
일본과 대만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기르고 있다. 나한송(Podocarpus macrophyllus (Thunb.) Sweet var. maki Siebold & Zucc.)에 비해 잎이 난형에서 긴 타원형으로 보다 넓으며, 씨는 보다 둥글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