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잎 | |
가지나 줄기에 윤생으로 돋아나며 잎끝이 2갈래로 갈라져 있다. 가지의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고 길이 9-14mm, 폭 2.1-2.4mm이며 표면은 암록색이고 뒷면은 은백색으로 잎 끝이 오목하다. 어린가지의 잎은 길이 18-20mm, 폭 1.8mm로서 요두이고 수지구가 약간 밑에 있으며 잎뒷면에 2개의 흰색의 기공선이 있다. |
|
열매 | |
열매는 구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4-6cm, 지름 2-3cm이며 녹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실편은 길이 9mm, 폭 18mm이고 포편의 침상 돌기가 뒤로 젖혀지며 종자는 난형으로 6mm정도이고 날개는 폭 4.5mm정도이다. | |
꽃 | |
5-6월에 솔방울같이 빨강, 노랑, 분홍, 자주등 다양한 색의 꽃이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웅화서는 타원형으로 길이 1cm정도이며, 자화서는 보통 자주색으로 길이 1.8cm가량의 꽃이 잎끝에 달린다. | |
줄기 | |
높이가 18m에 달하고 소지는 황색이지만 털이 없어지면서 갈색이 돌고 동아는 난상 원형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 있고 수지가 약간 있다. 노목의 수피는 거칠고 회갈색이다. | |
뿌리 | |
직근과 잔근이 있다. | |
원산지 | |
한국 | |
형태 | |
성상:상록침엽교목, 수형:초기에는 원추형이나 고목이 되면 원정형으로 변화함. | |
크기 | |
수고:18m, 수관폭 7-8m로 자란다. | |
개요
해발고도 1,000여 m 이상의 산지 사면 및 능선부에서 높이는 18m, 지름 1m 정도로 자라는 상록 침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거칠며, 겨울눈은 난상 원형이다. 잎은 성숙한 개체의 경우, 도피침상 선형으로 길이 1cm, 너비 2mm 내외지만 어린 개체에서는 길이가 2cm 내외로 보다 길며, 끝이 대개 오목하게 파이고, 뒷면은 흰빛을 띤다. 구화수는 암수한그루이며 수분기는 4~5월이다. 수구화수는 타원형, 암구화수는 거의 장타원형으로 검은 자주색에서부터 밝은 녹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포편의 상부가 배주 인편 밖으로 노출되어 끝부분이 아래쪽을 향해 젖혀진다. 열매는 구과, 길이 5cm 정도의 타원상 원통형으로 녹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길이 4~6cm로 8~9월에 익는다. 종자에 날개가 있다. 우리나라 전북 덕유산, 경남 지리산, 가야산,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분비나무에 비해 잎이 약간 짧고 넓으며 구과 포린(包鱗)의 끝이 뒤로 젖혀지므로 구별된다.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로 이용하며, 정원수로 심는다.
형태
상록침엽수로 높이 18m가량이다. 잎은 선형이고 끝이 두 갈래이며 표면은 암록색이고 뒷면은 은백색이다. 5~6월에 꽃이 피며 수꽃송이는 가지 끝에 달리고 암꽃송이는 보통 자주색이지만 빨강, 노랑, 분홍 등 다양한 색으로 피고 열매는 구과, 긴 난형으로 길이 4~6cm로 8~9월에 익는다.
상록침엽교목으로 잎은 선형이며 약간 짧고 끝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갔고, 잎뒤는 흰빛을 띠고 있다. 꽃은 자웅 2가로 수꽃이삭은 타원형이고, 암꽃이삭은 짙은 자색으로 모두 가지 끝에 난다. 6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구과로 원통형이고 녹갈색이며 10월에 익는다. 분비나무에 비해 잎은 약간 짧으며 폭이 넓고, 열매의 포린은 끝이 뒤로 젖혀져 있다.
국내분포
덕유산 이남
중부 이남
이용및활용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로 이용하며, 정원수로 심는다.
해설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의 고산지대에서만 분포하는 상록침엽수 고유종으로 분포의 축소 또는 소멸 예상
구상나무, AbiesKoreana, Korean Fir, 다년생, PerennialPlant, 소나무과, 월동, 상록수, 줄기, 구상나무줄기
03월 31일
흑종초 (Nigella Damascena) - 꿈길의 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