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후에
쓰러지며 경생엽은 가탁엽이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6~12cm, 나비 4~8cm로서 밑부분은 회백색 밀모(密毛)가 있으고 우상으로 깊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진다. 열편은 2-4쌍으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결각상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마침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수과는 길이 1.5mm, 지름 0.5mm로서 털이 없다.
꽃
꽃은 담홍자색으로 7-9월에 피며
길이 2.5-3.5mm로서 화경이 거의 없고 두화(頭花)가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총포(銃苞)는 긴 타원상 종형이며
길이 2-2.5mm, 지름 1.5mm로서 거미줄같은 털로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둔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줄기
높이 60-120c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원줄기에 종선이 있고 전체가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윗쪽에 가서 가지를 친다.
뿌리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새순이 나와 번식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60-120cm이다.
+상세설명
개요
산과 들의 양지바른 경작지 주변, 숲 가장자리 풀밭에서 높이 60~120cm 정도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에 능선이 있고,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싹이 나와 무리 지어 난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후에 스러지며, 줄기잎은 헛턱잎이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6~12cm, 폭 4~8cm, 깃털 모양으로 잎이 깊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2~4쌍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지고 갈래조각 수도 줄어 단순한 잎이 된다. 꽃은 7~9월에 담홍자색으로 피는데 길이 2.5~3.5mm인 머리모양꽃이 한 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며 전체가 원추꽃차례로 된다. 모인꽃싸개는 긴 타원형의 종 모양이며, 거미줄 같은 털이 난다. 꽃싸개잎 조각은 4줄로 배열된다.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등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잎 기부에 가짜 턱잎이 1~2쌍 있는 점에서 4쌍이 있는 참쑥과 구별된다. 봄철에 새로 나는 잎은 식용하며 약용으로도 널리 쓰인다. 바로쑥, 사재발쑥, 약쑥, 타래쑥이라고도 한다.